생활정보

창업 아이템 입지 예산 나의 경험을 공유해봅니다.

씨에스팩토리 2023. 3. 30. 19:16

창업을 준비하시는 예비사장님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가 직접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새로운 일을 준비하실 때, 주의하실 점이나 중요하게 생각하셔야 할 점에 대해서 한번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저의 경험담을 토대로 진솔하게 이야기를 해드릴 것입니다. 제 이야기가 성공적인 창업에 도움은 안되더라도, 실패 확률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창업
창업

 

 

■ 창업아이템선정

 

창업아이템을 선정하실때는선정하실 때는 당장의 수입보다는 안정성과 앞으로의 발전성을 보시고 선정하시기 바랍니다. 당장 수입은 클 수 있지만, 위험부담이 크거나, 불법은 아니지만 편법적인 사업은 절대로 오래 할 수 없습니다. 지속가능한 사업을 아이템으로 선정하셔야 10년 20년 사업을 운영해 나갈 수 있을 겁니다. 또한 아이템을 선정하실 때는 트렌드를 잘 읽으셔야 합니다. 술집을 예로 들면 이자카야가 유행할 때도 있고, 노래방형식의 술집이 유행할 때도 있고, 룸식술집, 클럽형태의 헌팅포차등 트렌드는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흐름을 잘못 읽어 버리는 경우, 근처에 트렌디한 술집이 하나만 생겨도 폭망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창업아이템을 선정하셨다면, 트렌드에 맞는 형태로 창업을 하셔야 합니다.

 

1. 지속가능한 창업아이템선정

2. 트렌드에 맞는 창업

 

■ 창업예산설정

 

어떤 사업을 하던간에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는 예산일 것입니다. 창업 예산으로 모아 놓은 자금만으로 창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자금이 부족하여 대출포함하여 예산을 마련하신다면, 대출은 자신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의 20~30% 정도만 이용해서 사업 예산에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사업을 시작하는데 자신이 끌어올 수 있는 모든 자금을 넣고 시작하게 되면, 막상 사업을 시작하자마자 자금난을 겪어 사업을 제대로 경영해 보지도 못하고, 접어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사업에 예산을 무리하게 맞추려 하다 보면, 실패할 확률을 2배 3배로 키우고 시작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벌어집니다. 사업은 크게 시작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실이 얼마나 튼튼한가가 중요합니다.

 

1. 예산에 맞춰 사업을 진행해야만 합니다.

2. 무리한 대출 하지말기

 

■ 창업입지선정

창업을 하실 때는 입지가 정말 중요합니다. 죽어있는 상권에 들어가서 그 상권을 살리기는 정말 힘듭니다. 자신이 창업을 하기로한 상권을 적어도 한달은 방문해서 유동인구의 동선을 파악하고, 주변 상가 고객들의 연령대도 어느정도 파악을 해놓으셔야 합니다. 사람이 아무리 다녀도, 흐르는 지역이면, 매장으로 방문하기보다 그냥 지나쳐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하나의 상권이라도 구역별로 이용고객의 연령대가 다릅니다. 골목 하나를 두고 한쪽은 20대상권이 한쪽은 30-40대 상권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상권 오래도록 지켜보면 꼭 망하는 자리는 항상 망합니다. 그점을 꼭 확인하세요. 항상 간판이 바뀌는 자리는 정해져 있습니다. 짧은기간동안 파악하기 힘들기때문에 창업을 하실때는 자신이 잘 아는 지역에서 하시는 게 유리합니다. 

 

1. 유동인구 흐름파악

2. 상권연령대 파악

3. 폐업자리 피하기

 

 

 

■ 창업운영계획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 가오픈기간을 꼭 갖길 바랍니다. 손발을 맞추는 시간을 어느 정도 갖은 뒤 오픈을 해야 합니다. 사람이든 가게든 첫인상이 정말 중요합니다. 첫인상이 좋으면, 적어도 한번은 더 오게 되어 있습니다. 첫단추를 잘 꿰기 위해서라도 오픈 준비를 철저히 한 후 정식오픈을 하시기 바랍니다. 처음 운영을 하다보면 생각지 못한 클레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고쳐야할 부분은 빠르게 수정하여, 매장을 찾는 고객님들이 발길을 돌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생각처럼 영업실적이 안나올 수도 있습니다. 매장을 찾아주시는 고객님들의 솔직한 의견을 꼭 경청하여 현실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자화자찬 하다가 점점 안좋은 상황으로 빠질 수 있습니다. 오픈,마감시간등 기본적인 부분은  철저히 지키도록 해야합니다. 기본부터 잘 지켜져야 내실이 다져지는 것입니다. 사업을 시작하게 되면 가장 힘든 부분이 사람을 관리하는 부분입니다. 사람을 관리하실 때는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에 대해서 철저히 구분하고, 정확히 전달해야 하며, 가족 같은 분위기로 하다가 진짜 개판 5분 전이 되실 수 있습니다. 각자의 위치에서 맡은 바 역할을 다 잘할 수 있도록 관리 감독을 잘하셔야 합니다.

 

1. 고객 클레임에 빠른 피드백

2. 문제점 파악 및 수정

3. 기본 충실

4. 직원 관리 감독

 

저는 창업 전문가는 아닙니다. 하지만, 제가 창업을 하고 실패를 해보고, 성공적으로 운영도 해보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어떤 사람들에 읽었을 때는 누구나 다 아는 거 아닌가라고 할 수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렇게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창업을 실패했을 때 얼마나 힘들어지는지 몸소 느껴봤기에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꼭 성공적인 창업을 하셔서, 좋은 생각만 하시면서 사셨으면 좋겠습니다.